나이 들며 점점 심해지는 우울감… 스스로 조기 확인이 필수

이의현 기자 2025-06-29 16:51:35
 클립아트코리아. 기사 및 보도와 연관 없음.

우리나라는 노인 빈곤율과 자살률이 세계 최고 수준이다. 실제로 나이가 들수록 우울감을 호소하는 이들이 주변에 적지 않다. 하지만 대부분이 그냥 일시적인 감정기복 정도로 여기고 방치하기 일쑤다. 자신의 상태를 제대로 파악 못한 채 전문적 치료 보다 항우울제 등에 의존하다 결국 우울증까지 진행되는 경우가 잦다. 전문가들은 간이 체크리스트 등을 통해 자신이 처한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우울증 진단 및 예방에 최우선이라고 말한다.

◇ 가장 간단한 ‘자가 테스트’ 이렇게

먼저 우리나라 국가트라우마센터가 제안하는 자가진단법이 있다. 최근 2주일 동안 총 9가지 문제들에 대해 얼마나 자주 경험했는지를 체크하는 방식이다. 전혀 없었다면 0점, 그런 기간이 며칠 정도면 1점, 7일 이상이면 2점, 거의 매일이라면 3점을 부여한다.

- 일 또는 여가 활동을 하는데 흥미나 즐거움을 느끼지 못한다

- 기분이 가라앉거나 우울하거나 희망이 없다

- 잠이 들거나 계속 잠을 자는 것이 어렵다. 또는 잠을 너무 많이 잔다

- 피곤하다고 느끼거나 기운이 거의 없다

- 입맛이 없거나 과식을 한다

- 자신을 부정적으로 보거나 자신을 실패자로 느낀다

- 신문을 읽거나 TV 보는 것 같은 일에 집중하기가 어렵다

- 다른 사람들이 주목할 정도로 너무 누르게 움직이거나 말을 한다. 또는 반대로 너무 많이 움직여 안절부절 하거나 들떠 있다

- 자신이 죽는 것이 낫다고 생각하거나 어떤 식으로든 자신을 해칠 것이라 생각한다

총점이 4점 이하면 정상이다. 우울 관련 증상이 거의 없는 상태다. 5~9점이면 경미한 우울증상이다.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는 아니다. 10~14점이면 중간 수준으로, 직업적 사회적 적응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 15~19점이면 약간 심한 수준이다. 정신건강 전문의 도움이 필요해지는 시기다. 20점 이상이면 심한 우울증상이니 전문의 상담 및 치료가 필수다.

클립아트코리아. 기사 및 보도와 연관 없음.
 
미국정신과협회가 정신장애 진단에 사용하는 자가 진단표도 유사하다. 9가지 증상 가운데 5가지 이상이 최근 2주 동안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면 우울증을 의심해 볼 수 있다고 판단한다.

- 거의 매일 하루 종일 슬프거나 공허해서 우울한 기분이다

- 거의 매일 내가 하는 대부분의 일에 흥미나 재미가 크게 줄어든다

- 식이조절을 하지 않았음에도 체중과 식욕이 크게 줄거나 크게 늘었다

- 거의 매일 불면증을 겪거나 지나치게 잠을 많이 잔다

- 거의 매일 불안 초조하거나 생각과 행동이 느리다

- 거의 매일 피곤하고 무기력하다

- 거의 매일 ‘나는 가치가 없다’는 생각이 들고, 근거없이 지나친 최책감에 빠진다

- 거의 매일 사고력과 집중력이 떨어지고 의사결정에 어려움을 느낀다

- 죽음 또는 자살에 대해 자주 생각하고 자살을 시도하거나 계획한 적이 있다

클립아트코리아. 기사 및 보도와 연관 없음.
 
◇ BDI(Beck Depression Inventiry) 자가 진단법

1961년에 개발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우울증 진단법 가운데 하나다. 각 문항에 대해 최근 일주일 동안 자신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생각되는 답을 직관적으로 선택하는 방식이다. 각 항목에 1점부터 4점까지 점수를 매긴다.

1. 나는 슬프지 않다(1점)-슬프다(2점)-항상 슬프고 기운을 낼 수 없다(3점)-불행해서 도저히 견딜 수 없다(4점)

2. 앞날에 대해 별로 낙심하지 않는다(1점)-앞날에 대해 용기가 나지 않는다(2점)-기대할 것이 아무 것도 없다고 느낀다(3점)-아주 절망적이며 나아질 가망이 없다고 느낀다(4점)

3. 나는 실패자라고 느끼지 않는다(1점)-보통 사람들보다 더 많이 실패한 것 같다(2점)-과거를 돌아보면 실패투성이인 것 같다(3점)-나는 인간으로 완전한 실패자라고 느낀다(4점)

4. 일상생활에 전과 같이 만족하고 있다(1점)-예전처럼 즐겁지 않다(2점)-요즘에는 어떤 것에서도 별로 만족을 얻지 못한다(3점)-모든 것이 다 불만스럽고 싫증이 난다(4점)

5. 나는 특별히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다(1점)-죄책감을 느낄 때가 많다(2점)-죄책감을 느낄 때가 아주 많다(3점)-항상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다(4점)

6. 나는 벌을 받고 있다고 느끼지 않는다(1점)-어쩌면 벌을 받을 지도 모른다는 느낌이 든다(2점)-벌을 받을 것 같다(3점)-지금 벌을 받고 있다고 느낀다(4점)

7. 나는 나 자신에게 실망하지 않는다(1점)-나 자신에게 실망하고 있다-나 자신에게 화가 난다-나 자신을 증오한다(4점)

8. 나는 다른 사람보다 못한 것 같지 않다(1점)-내 약점이나 실수에 대해 스스로를  탓하는 편이다(2점)-내가 한 일이 잘못되었을 때 언제나 나를 탓한다(3점)-모든 나쁜 일들은 다 내 탓이다(4점)

9. 나는 자살같은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1점)-자살할 생각을 가끔 하지만 실제로 하지는 않을 것이다(2점)-자살하고 싶은 생각이 자주 든다(3점)-기회만 있으면 자살하겠다(4점)

10. 나는 평소보다 더 울지는 않는다(1점)-전보다 더 많이 운다(2점)-요즘 항상 운다(3점)-전에는 울고 싶을 때 울 수 있었지만, 요즘은 울래야 울 기력조차 없다(4점)

11. 요즘 평소보다 더 짜증을 내는 편은 아니다(1점)-전보다 더 쉽게 짜증이 나고 귀찮아진다(2점)-요즘 항상 짜증을 낸다(3점)-전에는 짜증스럽던 일에 요즘은 너무 지쳐서 짜증조차 안난다(4점)

12. 나는 다른 사람들에 대한 관심을 잃지 않고 있다(1점)-전보다 관심이 줄었다(2점)-관심이 거의 없어졌다(3점)-다른 사람들에 대한 관심이 완전히 없어졌다(4점)

13. 나는 평소처럼 결정을 잘 내린다(1점)-결정을 미룰 때가 전보다 더 많다(2점)-전에 비해 결정내리는 데 더 큰 어려움을 느낀다(3점)-더 이상 아무 결정도 내릴 수가 없다(4점)

14. 전보다 내 모습이 더 나빠졌다고 느끼지 않는다(1점)-나이들어 보이거나 매력 없어 보일까 걱정된다(2점)-매력없게 변해버린 것 같은 느낌이 든다(3점)-내가 추하게 보인다고 믿는다(4점)

15. 전처럼 일을 할 수 있다(1점)-어떤 일을 시작할 때 전보다 더 많은 노력이 든다(2점)-무슨 일을 하려면 나 자신을 매우 심하게 채찍질해야만 한다(3점)-전혀 아무 일도 할 수가 없다(4점)

16. 평소처럼 잠을 잘 수 있다(1점)-전에 만큼 잠을 자지는 못한다(2점)-전보다 한 두 시간 일찍 깨고 다시 잠들기 어렵다(3점)-평소보다 몇 시간이나 일찍 깨고, 한번 깨면 다시 잠들 수 없다(4점)

17. 평소보다 더 피곤하지는 않다(1점)-전보다 더 쉽게 피곤해진다(2점)-무엇을 해도 피곤해진다(3점)-너무 피곤해서 아무 일도 할 수 없다(4점)

18. 내 식욕은 평소와 다름 없다(1점)-전 보다 식욕이 좋지 않다(2점)-식욕이 많이 떨어졌다(3점)-요즘은 식욕이 전혀 없다(4점)

19. 요즘은 체중이 별로 줄지 않았다(1점)-전 보다 몸무게가 2kg 가량 줄었다(2점)-전 보다 5kg 가량 줄었다(3점)-전 보다 7kg 가량 줄었다(4점)

20. 전 보다 더 건강을 염려하지는 않는다(1점)-여러 신체적 문제로 걱정하고 있다(2점)-건강이 염려되어 다른 일은 생각하기 힘들다(3점)-건강이 너무 염려되어 아무 것도 생각할 수 없다(4점)

21. 요즘 성에 대한 관심에 별다른 변화가 있는 것 같지 않다(1점)-전 보다 관심이 줄었다(2점)-전 보다 관심이 상당히 줄었다(3점)-관심을 완전히 잃었다(4점)

총점이 0점부터 9점까지는 우울하지 않은 상태, 10점부터 15점까지는 가벼운 우울 상태, 16점부터 23점은 중한 우울상태로 판단된다. 24점을 넘으면 심한 우울 상태로 판정된다. 

이의현 박성훈 기자 shpark@viva2080.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