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기심이 많아야 더 늦게 늙는다
2025-07-01

최근 현대인에게 필수적인 덕목 가운데 하나로 부상한 것아 ‘회복탄력성’이다. 크고 작은 스트레스나 난관의 상황 속에서 얼마나 현명하게 헤쳐나오고 평상심을 회복하는 지가 대단히 중요한 세상이 되었다.
<메이오 클리닉의 건강하게 나이드는 법>을 쓴 네이선 르브라쇠르와 크리스티나 첸은 회복탄력성이 우리 건강과 수명에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했다. 건강한 노화를 위한 필수 조건의 하나라고 했다.
이들이 우리 스스로 자신의 회복탄력성 수준을 확인해 벌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 다음 질문에 0점부터 10점까지 평가해 점수를 매겨 보자.
1. 현재 스트레스 수준은 어떤가
2. 지친 기분이 얼마나 자주 드나
3. 평소 집 밖에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에너지 수준은 어떤가
4. 평소 집 안에서 시간을 보내는 동안 에너지 수준은 어떤가
5. 평소 밤에 잠을 자고 일어난 뒤 활력이 넘치는 기분을 자주 느끼는가
6. 전반적인 삶의 질은 어떤가
7. 영적 웰빙 수준은 어떤가
8. 다른 사람에게서 받는 지지의 수준은 어떤가
9. 현재 순간에 얼마나 자주 집중하고 있는가
10. 행복 수준은 어떤가

여기서 1단계로, 질문 1번과 2번의 점수를 합산한다. 이어 2단계로 20에서 1단계의 합산 값을 뺀다. 3단계로 질문 3번부터 10번까지의 점수를 합산한다. 마지막으로 2단계와 3단계의 값을 더한다.
이렇게 나온 전체 점수가 높을수록 대체로 회복탄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질문 1번과 2번은 점수가 낮으면 회복 탄력성이 높고, 질문 3번부터 10번까지는 점수가 높으면 회복탄력성이 높다. 10점(질문 1,2번은 0점)을 얻어야만 회복탄력성이 뛰어난 것은 아니다.
르브라쇠르와 크리스티나 첸은 회복탄력성을 높이려면 건강한 생활습관을 만들어 행동 변화를 신중히 계획해 작은 단계부터 실천해 나갈 것을 권고했다. 그래야 성공 확률이 높아진다면서 구체적으로 몇 가지 실천 전략을 소개했다.
먼저, 똑똑하게 행동하기다.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달성 가능하고, 자신의 문제와 관련이 있으며, 기한이 정해진 목표를 스스로 정하라고 했다. 일주일 또는 한 달 안에 달성할 수 있는 목표부터 시작하라고 했다. 동시에 자신이 설정한 목표가 달성 가능하고 자기 문제와 관련이 있는 지 확인하고 실천할 것을 주문했다.
일정표를 기록하는 습관도 권했다. 목표를 알정표에 기록하면 달성 확률이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그 성과를 관리하는 사람은 더 큰 목표를 향해 꾸준히 나아가기 쉽다는 것이다. 이들은 “한 번의 성공은 또 다른 성공으로 이어진다”고 단언했다.
주변 사람들과 공유하기도 중요한 실천 과제다. 동료와 목표를 공유하면 목표 달성에 필요한 지원 또는 압박을 받을 수 있다고 했다. 성취하고 싶은 목표를 가족이나 친구들과 공유하고, 어떤 지원을 받고 싶은지 알림으로써 그들을 목표 달성에 동참시킬 수도 있다고 조언했다.
박성훈 기자 shpark@viva2080.com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