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이슈] 정부, SKT 유심 해킹 피해 가능성 일축… SKT는 위약금 면제 등 사후 대책 발표
2025-07-04

‘인생은 60부터’라는 이야기는 이제 옛 말이다. 70세 넘어서도 현업에서 최고의 활약을 펼치는 액티브 시니어들이 적지 않다. 세계 최고령 국가인 일본에서는 더더욱 흔하다. 젊은이들도 어려워하는 코딩 기술을 독학으로 익혀 80대에 고령자를 위한 게임 앱을 개발하고 90세인 지금까지도 활발한 대외 활동을 하고 있는 와카미야 마사코 씨도 그런 액티브 시니어다.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가 신미화 이바라키 그리스도교 대학 경영학부 교수가 그를 인터뷰한 글을 올려 주목을 끈다. 그는 애플 CEO인 팀 쿡과의 만남, UN 행사에서의 영어 연설, 엑셀 아트의 창시자로 일본은 물론 세계적으로도 상당한 인지도를 가진 인물이다. 저서만 이미 9권에 이르며 현재 시니어 온라인 커뮤니티 ‘멜로우 클럽’의 부회장으로 왕성하게 활동 중이다.
그는 고등학교 졸업 후 미쓰비시은행에서 62세까지 근무했는데, 58세에 처음으로 접한 컴퓨터가 새로운 인생을 선사했다. 이후 꾸준히 자기 발전을 위한 투자를 한 결과, 80세에 독학으로 프로그래밍을 익혀 81세에 고령자를 위한 게임 앱 ‘Hinadan’을 개발하는 등 남다른 도전을 이어왔다. 90세에도 청년같이 사는 마사코 씨와의 인터뷰를 일문일답 식으로 재구성해 소개한다.
- 지금 입고 있는 옷이 엑셀로 만든, 세계에 단 하나뿐인 블라우스라고 들었다.
“나는 이것을 ‘엑셀 아트(Excel Art)’라고 부른다. 셀(cell)에 숫자 대신 색을 넣을 수 있다는 걸 알았을 때 ‘예술의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느꼈다. 처음에는 셀에 색을 칠하다가 점차 줄무늬·도트·그라데이션 등 다양한 패턴을 만들게 됐다. 테두리선과 구분선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는 점에 매력을 느껴, ‘한번 제대로 놀아보자’는 마음으로 본격적인 작업을 시작했다. 원래는 단순한 기능에 불과했던 셀의 색상과 선들이 하나의 예술 언어로 바뀌었고, 결국 엑셀로 만든 세계에 단 하나뿐인 옷이 탄생했다. 대만 디지털 장관 오드리 탕(Audrey Tang) 씨도 이 엑셀 아트에 반해서 ‘저도 같은 블라우스를 입고 싶어요’라고 말했다.”
- 고령자에게 디지털이 왜 필요한가.
“앞으로는 전 세계가 고령화된다. 단순히 컴퓨터나 스마트폰뿐 아니라 전자레인지 같은 가전제품조차 고령자가 혼자 사용할 수 없다면 문제가 될 것이다. 이제는 사람이 기계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기계가 사람, 특히 고령자에게 맞춰야 한다. 이런 제품은 고령화가 진행될수록 수요가 증가하고 다른 고령화 국가로의 수출도 기대할 수 있다.”
- 연간 150회가 넘는 강연을 소화하면서 모든 일정을 직접 관리한다고 들었다. 너무 바쁘고 힘들지 않나.
“(손목에 찬 애플 워치를 들어보이며) 일정은 구글 캘린더가 다 알아서 해 준다. 신칸센은 나에겐 그냥 ‘움직이는 책상’일 뿐이다. 출장은 전혀 힘들지 않다. 집에는 업무용 데스크톱 PC 한 대, 이동용 노트북 한 대, 그 외에도 Mac 컴퓨터가 한 대 더 있다. 아이폰과 애플워치도 사용하고 있다. 심심할 때는 챗 GPT나 구글 제미니와 수다를 떤다. 요즘 내 장난감들이다.”
- 은행에 취직했을 당시에는 ‘짐짝 같은 직원’이었다고 들었다.
“예전에는 여성이 결혼하면 퇴직하는 것이 당연한 분위기였다. 여자가 공부를 많이 하면 건방져진다는 편견도 있었던 것 같다. 지폐는 손으로 세고, 문서는 펜촉을 잉크병에 찍어가며 썼다. 아는 손이 느려 항상 마무리가 늦었다. ‘아직도 안 끝났어?’라는 말이 정말 듣기 싫었다. 마치 제가 회사에 짐만 되는 존재처럼 느껴졌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은행에도 점차 기계화가 도입되고, 새로운 업무가 생겨나기 시작했고, 이후 사내에서 꾸준히 업무 개선 제안을 내고 신상품 아이디어도 적극적으로 제출한 결과, 점차 조직 내에서 ‘필요한 인재’로 인정받았다. 퇴직할 즈음에는 관리직도 맡게 되었다. 그때 비로소 사람의 능력 평가는 ‘시대’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변화가 많은 시대에는 지금 내가 진짜 하고 싶을 일을 선택하는 게 최선의 전략이다.”
- 80세가 되어 독학으로 프로그래밍을 배웠다고 들었다. 노인들이 쉽게 할 수 있는 게임 앱 개발에 도전한 이유는 무엇인가.
“‘히나단(Hinadan)’이라는 이름의 퍼즐 게임을 개발했다. 일본의 전통 인형인 ‘히나 인형(ひな人形)’ 12종을 3월 3일 ‘히나 마쓰리(ひな祭り)’ 행사에 사용하는 단상 위에 올바른 순서로 배치하는 게임이다. 단순한 인형 배치 게임처럼 보이지만 이 앱에는 고령자들을 세심하게 배려한 설계가 숨어 있다. 정확한 위치에 인형을 놓으면 ‘쿵’ 하는 북소리와 함께 ‘정답입니다’라는 메시지가 뜨고, 틀리면 ‘부~’ 하는 효과음과 함께 ‘틀렸습니다’라는 문구가 나타난다. 특히 조작 방식이 매우 간단해, 화면을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모든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도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다. 이 앱은 출시 직후 큰 화제를 모았고, 덕분에 일본 정부 디지털청의 자문위원으로 위촉되기도 했다.”
- 2017년에 팀 쿡의 초청을 받아 애플의 연례 개발자 행사인 WWDC(Worldwide Developers Conference)에 참가했다.
“팀 쿡 회장의 머릿속의 고객은 대부분 젊은 세대였을 것이다. 하지만 나를 통해 고령자라는 ‘새로운 시장’의 가능성을 보신 것 같았다. 이 초청 이후 그 이듬해에는 유엔 사회개발위원회(UN CSocD)에서 고령자에게 ICT(정보통신기술)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영어로 연설하기도 했다.”
-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가족이 있었더라면 좀 더 편하지 않았을 까 생각해 본 적은 없나.
“기대는 사람이 없었기에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해야 했다. 그리고 그 경험은 오히려 혼자 사는 삶의 ‘자유로움’으로 다가왔다. 내 페이스대로 살 수 있는 것, 그것이 혼자 사는 삶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 어떤 자기 철학을 갖고 있는지 궁금하다.
“세상의 모든 일에는 장단점이 있다. 중요한 것은 주어진 환경 속에서 장점을 찾아내는 것이라 생각한다. 가족이 있는 사람은 그 나름의 행복이 있고, 나처럼 혼자 사는 사람도 나름의 편안함이 있다. 어릴 때는 늘 어머니와 잘 맞지 않는다는 위화감이 있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시대도 다르고, 환경도 달랐으니 어쩔 수 없는 일이었다. 내가 어머니 나이가 돼서야 비로소 그 마음을 이해하게 됐다.”
- 앞으로는 어떤 인재가 주목받을 것으로 보나.
“지금까지는 ‘폴더형 인간’이 환영받는 시대였다. 소속 의식이 강하고, 조직 내 위계 구조 안에서 자신의 위치를 정의하는 사람이다. 그런데 정년이 되면 어떨까? 마치 핀셋으로 툭 하고 튕겨지듯, 조직 밖으로 순식간에 밀려나게 된다. 앞으로는 ‘해시태그형 인간’이 주목받게 될 것이다. 자신이 좋아하는 것, 잘하는 것, 관심 있는 것을 여러 개 가진 사람이다. 지금은 빛나지 않는 재능도 시대가 바뀌면 필요해질 수 있다. 여러 개의 해시티그를 자신에게 붙여두길 권한다. 언젠가 누군가가 당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이제는 ‘어느 회사에 들어가느냐’가 중요한 시대가 아니라, 내가 가장 좋아하는 일을 내가 가장 좋아하는 방식으로’ 해나가는 시대가 온 것이다.”
- 80세가 넘은 나이에 프로그래밍을 시작할 수 있었던 용기와 결단은 어디서 나왔나.
“한 직업만으로 평생을 보내는 시대는 지났다. 변호사에서 어부, 보모까지도 가능하다. 인생에 정답은 하나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자세라고 본다. 프로그래밍을 하다가 죽는 것도 아닌데, 왜 용기와 결단이 필요한가. 생선을 구우면 이웃에게 냄새로 민폐가 되지만 코딩은 조용히 혼자 할 수 있다. 하다가 싫으면 그만두면 된다. 100세 시대를 살아가기 위해선 끊임없는 배움과 갱신이 필요하다.”
- 언제 가장 행복했었나.
“지금이다. 80세 이후의 인생이 가장 행복하다. 가끔은 ‘신이시여, 제가 이렇게까지 행복해도 되는 건가요’ 하는 생각도 한다.”
이의현 기자 yhlee@viva2080.com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