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 자산 배분 도와줄 '4대 솔루션'을 이용해 보세요
2025-07-02

퇴직연금을 운용하는 사람들을 자신의 수익률이 어느 정도인지, 다른 사람들에 비해 얼마나 앞서는지 혹은 얼마나 쳐지는 지 궁금해 한다. 최근 고용노동부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퇴직연금 투자 백서’를 보면 어느 정도 가늠할 수 있다. 오현민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수석매니저가 홈 페이지에 올린 글을 일문일답식으로 재구성해 소개한다.
- 최근 퇴직연금 적립금이 역대급인 것으로 알고 있다.
“지난 해 2024년 퇴직연금 총 적립금은 431조 7000억 원이다. 5년 전인 2019년에 비해 두 배 가까이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 많은 퇴직연금 가입자들이 예금에 투자자산을 묻어두고 있는 것으로 안다.
“그 점이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현재 전체 적립금의 83% 가량이 예금 등 원리금 보장형 상품에 투자되어 있다. 그나마 2년 전 89% 수준에 비해 점점 낮아지는 추세라 투자의 변화 기운이 읽혀진다. 펀드나 ETF 같은 실적배당형 상품에 투자되는 자금이 늘고 있다는 얘기다. 최근 들어선 공격적인 DC나 IRP 투자자가 늘고 있어 주목된다.”
- 실적배당형 상품의 수익률은 어떤가.
“2023년 기준 전체 퇴직연금 평균 수익률은 4.8%였다. 하지만 DB형(4.04%)에 비해 DC형이 5.18%로 더 높았다. 특히 DC형에서는 6% 이상 수익률을 거둔 가입자가 8%에 달했고, 일부는 최대 20% 가까운 수익률을 올리기도 했다. 이에 비해 DB형에서는 6% 이상 수익률을 올린 가입자가 1%도 되지 않았다.”
- 그런 차이는 왜 생기는 것인가.
“회사가 DC형을 추가 도입하지 않는 한, DB형 가입자는 운용에 개입할 여지가 적다. 이럴 때 개인형 퇴직연금(IRP)이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다. IRP는 퇴직금을 받는 계좌이면서 셀프 적립금으로 세액공제 혜택까지 받을 수 있는 절세 계좌다.”
- IRP 계좌의 수익률 분포는 어떻게 나타났나.
“IRP 적립금은 2년 연속 30% 이상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평균 수익률은 5.86%에 달했다. 특히 IRP 가입자 중 30%가 6% 이상의 수익률을 기록했으며, 가입자의 13%는 10%를 넘는 성과를 올렸다. DC형보다도 더 공격적인 운용이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 퇴직연금 적립금은 어떤 상품에 투자되고 있나.
“투자백서에 따르면 가장 많이 선택된 공모형 펀드 유형은 타깃데이트펀드(TDF)였다. TDF는 은퇴 시점을 목표로 주식과 채권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상품이다. 생애주기에 맞춘 투자에 적합한 특성을 갖추었다고 평가된다.”
- TDF 투자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은가.
“이번 랭킹에서는 2025, 2030, 2045를 목표로 하는 TDF들이 적립금 상위에 올랐다. 참고로 올해가 목표 시점인 2025 TDF를 올해 환매해야 하는 것인가 궁금해 하는 분들도 있는데, 예금처럼 만기 시점에 환매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이후에도 주식비중 40% 이하로 줄여 지속 운용된다는 점을 알아두면 좋다.”
- 글로벌 빅테크에 투자하는 해외주식형 펀드, 국내채권형, 배당주 펀드도 상위 순위권에 올랐다고 들었다.
“ETF는 S&P500, 나스닥100, 미국 반도체지수, 미국 장기국채 등 해외형 상품들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런 해외형 상품은 일반계좌가 아닌 퇴직연금계좌에서 투자하면 절세 효과가 크다. 매매차익에 대한 배당소득세도 없고, 55세 이후 연금으로 받으면 3.3~5.5% 낮은 세율로 과세된다.”
- 마지막으로 당부 사항이 있으면 알려달라.
“퇴직연금은 어떻게 운용하느냐에 따라 노후 자산의 규모가 달라질 수 있다. 이제 퇴직금은 내가 굴린 만큼 받는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지금 내 계좌의 수익률은 얼마인지를 이번 백서에서 확인해 보고, 퇴직연금 투자 포트폴리오를 점검해보면 좋다. 작은 실천이 10년, 20년 뒤 노후 경제적 삶의 격차를 만들 수 있다.”
이의현 기자 yhlee@viva2080.com
댓글
(0) 로그아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