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50대 들, 노후 대비로 '자격증 취득' 러시 

최인한 시사일본연구소장이 전하는 '일본 50대 샐러리맨들이 노후 위해 준비 중인 자격증'
이의현 기자 2025-08-25 08:57:53
사진=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일본의 정년은 65세다. 하지만 세계 최고령 국가답게 정년 후에도 일하는 고령자들이 많다. 70대 취업률이 40%를 넘어설 정도다. 고령자 개인들의 취업 연장 노력도 있지만, 정부가 고령자 취업 확대를 위해 기업의 65~70세 고령자의 취업 기회 확보를 의무화하는 ‘고연령자 고용 안정법’ 같은 법과 규정을 적극 추진한 덕분이다.

일본 전문 저널리스트인 최인한 시사일본연구소장이 최근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에 일본의 높은 고령자 취업률에 관한 글을 기고해 주목을 끌었다. 최 소장은 60대 초반에 정년을 마친 후 계속 일하는 것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면을 포함해 고령자 일자리 상황에 관해 일본과 한국을 비교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70대까지 일을 하면 가계수입 증가로 경제적 안정에 도움이 되고, 규칙적인 생활과 신체 활동 덕분에 건강 수명도 늘릴 수 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실질임금이 줄어 후생연금(공적연금) 수령액이 줄어드는데다 정부재정 악화로 후생연금 지급 개시 연령이 계속 높아지는 추세라 불가피하게 고령 취업시장으로 내몰리는 게 일본의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최 소장은 이와 관련해 최근 일본에서는 50대 직장인들이 노후를 대비해 자격증 따기 열풍이 거세다고 소개했다. 일본에서는 정년 후에도 임금 수준만 낮추면 일할 수 있는 곳이 많기 때문에 출퇴근이 자유롭고 업무 형태에 따라 고수입을 기대할 수 있는 자격증을 취득해 일찌감치 창업에 나서는 사람들도 적지 않다고 전했다. 

그는 나이가 들어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조직에서 일하는 것이 적성에 맞는 사람은 의료 및 복지 관련 자격증이 인기라고 전했다. 일본에서는 전국 곳곳의 요양시설이나 병원에서 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년 후 자택에서 가까운 곳에서 일하는 곳을 찾는 사람에게 적당하다고 했다. 가이고(介護, 노인 돌봄) 복지사 실무자 연수가 특히 인기인 이유다.

관련 경험이 없는 사람도 취득할 수 있는 가이고 직무는 경력과 자격을 바탕으로 커리어를 쌓아갈 수 있는 분야여서 고령자들 사이에 특히 인기가 높다고 한다. 국가 자격증인 ‘가이고 복지사나 ‘케어 매니저’를 목표로 하는 사람들은 복지사 실무자 연수를 미리 취득해 두는 것이 유리하다고 했다. 두 직무 모두 노후에 삶과 일에서 보람을 찾을 수 있는 직업이라고 했다.

메디컬 클럭(의료 사무 기능 심사 시험)도 주목을 끄는 자격증이라고 소개했다. 의료 사무와 관련된 자격증이 다양하고 난이도도 천차만별인데, 그 가운데 누구나 응시할 수 있어 인기라고 한다. 의료기관에서 접수 업무, 진료비 청구 등 의료 사무직이 목표다. 경기 변동의 영향이 적은데다 정규직, 계약직, 아르바이트 등 자신에게 맞는 근무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재택 근무가 적합한 사람들에게 적합한 자격증도 인기라고 한다. 웹(WEB) 디자인 및 홈페이지 제작 업무와 관련해선 웹 디자인 기능검정, 웹 크리에이터 능력 인증 검정, 웹 디자이너 검정 등을 소개했다. 시스템 및 앱 개발을 담당하는 기본 정보 기술자 시험, Java 프로그래밍 능력 인증시험, 애플리케이션 기술자 인정시험 등도 있다. 이 밖에 웹라이팅 기능 검정이나 이미지 및 동영상 편집 업무도 노려볼 만 하다고 했다.

재택 가능 업무로는 번역과 통역도 있다. 번역 관련 인증 시험으로 ‘번역실무 검정시험(TQE)’이 있다. 통역의 경우는 TOEIC이나 국가 공인 통역 안내사, 비즈니스 통역 검정(TOBIS) 등의 자격증이 있다고 했다. 기왕의 기술을 써먹을 수 있는 녹음 기술자 민간 자격증도 최근 주목을 끄는 분야라고 전했다. 

최 소장은 “초고령 사회를 맞아 인생이 훨씬 길어져, 정년 후 노후 생활이 예전보다 훨씬 중요해지고 있다”면서 “정년 퇴직을 하기 전인 50대부터 어떤 생각을 갖고,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 인생 후반부가 달라진다”고 강조했다. 

이의현 기자 yhlee@viva2080.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