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레버리지’ 실력은 어느 정도?

<39세 부자 아빠의 레버리지 ETF 투자노트> ‘제이투’가 제시하는 레버리지 수준 자가 테스트 법
이의현 기자 2025-05-27 07:58:08
클립아트코리아. 기사 및 보도와 연관 없음.

타인의 자본을 지렛데처럼 이용해 자기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투자기법을 ‘레버리지(leverage)’라고 한다. 그래서 “부자가 되고 싶다면 ‘레버리지 투자’를 하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섣부른 지식과 투자 실력으로 덤볐다가는 낭패보기 일쑤다. 그만큼 전문적인 지식과 투자 경험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무엇보다 레버리지 자체에 대한 깊은 이해와 함께 자신의 래버리지 기초수준을 파악하는 게 먼저이다. 자신의 경험담을 토대로 <39세 부자 아빠의 레버리지 ETF 투자노트> 신간을 낸 ‘제이투’ 작가가 스스로 자신의 레버리지 투자 실력을 가늠할 자가 테스트 방법을 소개해 주목된다. 

특히 노후 대비 대표상품인 ETF(상장지수펀드)를 기반으로 한 레버리지을 제시해 눈길을 끈다.그는 다음 8가지 질문에 솔직하게 답을 해 보고 점수를 합산해 자신의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받은 다음에 자신에 맞는 투자 방향과 방법을 모색해 볼 것을 조언했다. 

1. 레버리지 ETF에 대한 이해 수준이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나.

① 레버리지 상품의 정보와 투자 원리를 잘 모르고 즉흥적으로 투자한다

② 일부 이해하고 투자한다

③ 대부분 이해하고 투자한다

④ 이해하고 스스로 종목을 선택해 투자할 수 있다.

 

2. 레버리지 ETF 분야에 국내외 투자한 경험이 있나.

① 국내에 상장한 레버리지 ETF에만 투자할 수 있다

② 국내에 상장한 레버리지 ETF와 국내 상장한 해외 레버리지 ETF에 투자할 수 있다

③ 국내에 상장한 레버리지 ETF와 해외 상장 레버리지 ETF에 모두 투자할 수 있다

④ 3배 레버리지 상품 또한 제대로 이해하고 투자할 수 있다

 

3. 헤버리지 투자의 장점과 단점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나.

① 레버리지 투자의 장점(수익률 극대화)과 단점(위험)을 고려하지 않고 투자한다

② 일부 이해하고 투자한다

③ 대부분 이해하고 투자한다

④ 모두 이해하고 종목 선정도 가능하다

 

4. 레버리지 ETF 투자 시 본인의 감정 상태는 보통 어떠한가.

① 매우 불안정하고 안절부절한다

② 약간의 긴장감과 함께 투자하는 동안 걱정을 안고 있다

③ 약간의 긴장감과 함께 스스로 감정을 통제할 수 있다

④ 매우 안정적이며 편하다

 

5. 평소 경제 사이클을 읽는 연습을 하고 있나.

① 현재 증시가 상승 사이클, 하락 사이클, 버블 구간인지 전혀 모르고 투자한다

② 이해하고 투자한다

③ 구분하여 투자한다

④ 알고 있으며 사이클에 맞춰 투자할 수 있다

 

6. 평소 섹터 사이클을 읽는 연습을 하고 있나.

① 현재 섹터 사이클을 전혀 모르고 투자한다

② 조금은 이해하고 투자한다

③ 구분하며 투자한다

④ 구분하며 각 섹터의 투자 사이클에 맞춰 투자할 수 있다

 

7. 레버리지 ETF에 투자한 기간은 얼마나 되나

① 1년 이하

② 1년 이상 3년 이하

③ 3년 이상 5년 이하

④ 5년 이상

 

8. 현재 운용하고 있는 금융 자산 규모는 어느 정도 수준인가.

① 3000만 원 이하

② 3000만 원 이상, 5000만 원 이하

③ 5000만 원 이상, 1억 원 이하

④ 1억 원 이상


이상의 레버리지 적합도 테스트에서 ①번은 1점, ②번은 2점, ③번은 3점, ④번은 4점으로 계산해 합계를 낸다. 합계 점수가 15점 이하면 레버리지 ETF 초급 수준이다. 15점에서 20점 사이면 중급, 21점에서 26점 사이라면 상급 수준이다. 그리고 27점 이상이면 최상급이다.

 
초급의 경우 상품에 대한 이해와 위험도를 전혀 이해하지 못한 채 즉흥적인 판단으로 투자하는 유형이다. 기본 개념부터 공부할 필요가 있다. 제이투는 “이런 초보 투자자라면 1000만 원의 예탁금이 필요한 국내보다는 예탁금 규제가 없는 미국 레버리지 ETF 시장으로 눈을 돌리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변동성이 큰 레버리지 상품보다는 안정적인 지수 레버리지 ETF나 환율레버리지 ETF에 우선 관심을 가져볼 것을 권했다.

중급 투자자라면 증시와 섹터 사이클을 공부하는 데 더 집중할 필요가 있다. 애매할 때 공격적인 투자를 하는 우를 범할 때가 많기 때문이다. 자산을 너무 한 종목에 몰빵하는 것은 아닌지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제이투는 이들 역시 초급자와 마찬가지로 예측가능한 범위 내 투자가 바람직하다고 했다. 지수 레버리지 ETF나 환율레버리지 ETF 투자를 고려해 보되, 자산의 20% 정도는 미국 성장 섹터 레버리지 ETF에도 투자해 볼 것을 권했다.

상급 투자자 실력이라면 이미 레버리지 ETF에 상당기간 투자해 장단점 정도는 모두 이해하는 수준이다. 투자 기회가 왔을 때 잡을 수 있는 투자자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다양한 섹터를 공부해 보고 자산의 20%는 자신이 모르는 레버리지 섹터에 투자하면서 다양한 기회를 포착해보는 것도 좋다고 제이투는 조언했다. 특히 증시 사이클과 각 분야 섹터는 다르게 흘러갈 때가 있으니 다양한 경험을 통해 실력을 더 쌓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레버리지 투자 실력이 최상급이라면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자산을 통제하고 시장의 사이클과 섹터 사이클을 정확히 읽어내며 매수 기회가 올 때까지 절제해 명확한 타이밍에 레버리지를 일으키는 투자자다. 특히 위기에서 기회를 포착할 수 있는 사람들이다. 제이투는 “이런 투자자라면 사이클을 좀더 세분화해 자산의 20% 안에서 사이클 투자와 관련해 3배 레버리지 ETF 투자에도 도전해 볼 만하다”고 권했다. 다만, 자신의 투자성향과 맞아야 한다고 했다.

제이투는 “레버리지는 시간과 에너지, 자본의 총합”이라며 “레버리지 시스템은 부자들이 만들어 놓은 구조이며, 부자란 그렇게 레버리지를 일으켜 시간을 사는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레버리지’가 만들어 내는 소득으로 부자가 될 수 있으니 더 공부하고 경험을 쌓으라고 조언했다. 

이의현 기자 yhlee@viva2080.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