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직업능력연구원 “탄소중립 대응 중장년층 직업훈련을 위해 정부, 지자체, 산업체 협력강화 시급”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중장년 대상 직업훈련 혁신 방안 분석 보고서 내 
이의현 기자 2025-05-22 13:59:45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산업 현장의 중장년 근로자들을 위한 체계적인 직업훈련 방향 설정과 맞춤형 지원이 시급하다는 보고서가 나와 주목된다.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고혜원)은 20일 에 ‘탄소중립에 대응하는 중장년 대상 직업훈련 혁신 방안’을 발표하고, 탄소중립 전환이 중장년층 직업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진단과 함께 이에 대응한 정책적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연구원은 보고서의 현장성과 분석력을 높이기 위해 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 탄소중립 지원센터, 직업훈련기관 실무자 등 총 13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형태로 진행했다. 이를 통해 훈련 현장에서 인식되는 제약 요인과 개선 과제를 정성적으로 도출했다. 

아울러 지속가능경영 및 직업훈련 분야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계층화 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적용해 주요 정책 방안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정량적으로 평가했다.

분석 결과, 연구진진은 탄소중립 대응을 위한 중장년 직업훈련 혁신의 핵심 영역을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고, 각 영역별로 네 가지씩 총 12개의 세부 실천 전략을 도출했다. 

자료=한국직업능력연구원


세 가지 영역은 탄소중립 관련 협치 기능 강화, 중장년을 위한 탄소중립 특화 훈련의 고도화, 중장년 훈련생의 훈련 참여 지원 체계 마련으로 설정되었다. 세부적으로는 정부의 정책 방향과 로드맵 수립, 산업계와의 협력 체계 구축, 지역 산업군과 연계된 훈련 설계, 자격 취득 기반의 훈련 과정 운영, 중소기업 대상 지속가능경영 지원 확대 등이 포함됐다.

12개 세부 전략에 대해 AHP 분석 결과,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차지한 항목은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방향 설정과 로드맵 수립이었다. 이는 훈련과 고용의 전반적 방향을 결정짓는 기반으로서 정책 프레임워크의 중요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뒤를 이어 각 지자체의 특화 산업군과 연계한 훈련 지원 방안 마련, 중소기업 대상 지속가능경영 활성화를 위한 지원 체계 구축, 유관 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 체계 강화, 자격 취득과 연계된 탄소중립 특화 훈련의 개발 및 운영 등이 높은 순위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단순히 교육 콘텐츠를 개발하는 수준을 넘어서서, 중앙정부의 정책 방향부터 지역과 산업 현장의 수요를 반영한 체계적 설계, 그리고 중장년층의 참여 동기 부여까지 포함하는 입체적 전략이 필요하다”고 결론 내렸다.

특히 탄소중립이라는 구조 전환은 개별 근로자의 의지나 선택만으로 감당할 수 없는 사회적 변화를 수반하기 때문에, 거버넌스 차원에서의 정책 개입과 협력 체계 정비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은진 연구위원은 “탄소중립 대응 직업훈련의 혁신은 단순한 커리큘럼 개선이 아니라, 정책과 산업, 지역사회 간 협치 기반을 어떻게 정비하느냐의 문제”라며 “정부의 명확한 정책 설정과 함께 지자체와 산업체가 참여하는 훈련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특히 중장년층이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자격 취득과 연계된 실효성 있는 훈련 과정 개발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의현 기자 yhlee@viva2080.com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